역류성식도염 치료제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는 역류된 위산에 의한 식도 하부 점막의 손상을 막는 약물이다. 역류성 식도염과 같은 위식도 역류질환에서 위산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므로 보통 위산분비 억제제를 투여하여 역류성 그 외 제산제도 역류성 식도염 체료제로 사용을 하는데 이는 위산을 중화시켜 위산 역류에 의한 통증을 완화하고 점막 손상을 막는 약물로 이용이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종류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에는 1)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와 2) 히스타민-2 (histamine-2, H2) 수용체 차단제가 있습니다. 그 외에 손상된 식도 점막을 보호하는 약물로 알긴산, 수크랄페이트 등 위의 산도를 낮추는 3) 제산제가 사용됩니다.
1) 프로톤 펌프 억제제 위산의 분비는 여러 가지 신경 물질 및 호르몬 등에 의해 조절된다. 위산이 분비되는 최종 단계에서는 위벽세포에서 H+/K+-ATPase (proton pump, 프로톤 펌프, 양성자 펌프, 수소이온 펌프)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칼륨 이온(K+)을 세포 내로 유입하는 대신 위장 내로 수소이온(H+, proton)을 방출하게 된다.
이 수소이온은 염소와 결합하여 위산이 된다. PPI는 프로톤 펌프인 H+/K+-ATPase 효소를 억제하여 빠르고 강력하게 위산분비를 억제한다.
프로톤 펌프는 식사 중에 활성이 높으므로 PPI 제제들은 미리 식전에 복용하여 약효가 나타나도록 합니다.
[약물]
오메프라졸, 에스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덱스란소프라졸, 판토프라졸, 라베프라졸, 일라프라졸 등이 있다.
2) 히스타민-2: 인체에서 생산되는 물질로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을 나타낸다. 외부 자극에 의해 분비된 히스타민은 H1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여 알레르기 반응(기관지 수축, 혈관 확장, 발적, 가려움증 등 유발)에 관여한다. 또한, 위 점막의 H2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여 위산의 분비를 자극한다.
히스타민-2(H2) 수용체 차단제 H2 수용체 차단제는 위벽 세포의 H2 수용체에서 히스타민과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위산의 분비를 억제한다. 대부분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신장애가 있는 경우 용량을 감량해야 한다.
[약물]
시메티딘, 라니티딘, 파모티딘, 니자티딘, 라푸티딘, 록사티딘 등이 있다.
3) 기타 약물
(1) 점막 보호제: 이미 손상된 점막을 보호하는 약물로, 알긴산과 수크랄페이트로 나누어집니다. 알긴산은 위산으로부터 식도 점막을 보호하고, 출혈이 있을 경우 지혈 작용을 합니다. 수크랄페이트는 손상된 궤양 부위에 부착되어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궤양 부위를 보호하는 작용을 합니다.
(2) 그 외에 제산제도 사용될 수 있다. 위산을 중화시키는 제산제는 역류하는 위산의 산도를 낮춰 통증을 완화해 주고, 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약물입니다. 대부분 다른 역류성 식도염 체료제와 함께 복용합니다.
이상으로 역류성 식도염 질환에 사용되는 치료약제들에 대해 설명해 드렸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선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복용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