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 3번이 없는 이유?|2025년 대통령 선거에서 사라진 기호의 비밀
2025년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유권자들의 관심도 뜨겁습니다. 그런데 선거공보물이나 벽보를 유심히 본 분들이라면 눈치챘을 겁니다. 기호 1번, 2번, 그리고 4번은 있는데… 기호 3번이 없다?!
많은 유권자들이 “3번은 왜 비어있지?”라는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고, 오늘은 그 이유를 정확히 짚어보겠습니다.
1. 기호는 어떻게 정해질까?
✔️ 정당 후보의 기호는 의석수 순
- 대통령 선거에서 기호 1번부터 5번까지는 국회에 진출한 정당의 의석수에 따라 자동 배정됩니다.
- 기호 1번: 국회 의석 수 1위 정당의 후보
- 기호 2번: 국회 의석 수 2위 정당의 후보
- …이런 식으로 배정됩니다.
결론: 후보자 기호는 현행 공직선거법에 따라 국회 의석이 많은 정당부터 앞선 번호를 부여받는다.
✔️ 그런데 왜 기호 3번이 없을까?
조국혁신당은 2024년 총선에서 비례대표 12석을 확보하며 원내 제3당이 되었지만, 대선 후보를 등록하지 않아 기호 3번이 공란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 만약 기호 배정 대상인 정당(국회의석수 3위)이 대선 후보를 등록하지 않으면, 해당 기호는 자동으로 건너뛰게 됩니다.
- 예를 들어, 3위 정당인 A당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 기호 4번은 의석 수 4위 정당의 후보에게 부여됩니다. 즉, 번호는 연속되지 않고 "기호를 받은 정당만" 부여받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이번 대선의 후보자 기호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습니다.
기호 1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기호 2번: 김문수 (국민의힘)
기호 3번: 결번 (조국혁신당 후보 미등록)
기호 4번: 이준석 (개혁신당)
기호 5번: 권영국 (민주노동당)
기호 7번: 황교안 (무소속)
기호 8번: 송진호 (무소속)
📌 사례로 이해하기
기호 | 후보 정당 | 정당순위 | 후보 등록 여부 |
1번 | 더불어민주당 | 1위 | 등록함 |
2번 | 국민의힘 | 2위 | 등록함 |
3번 | 정의당 (예시) | 3위 | 등록 안 함 ❌ |
4번 | 기본소득당 (예시) | 4위 | 등록함 |
※ 따라서, 사례로 살펴보면 정의당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 3번은 공석이 되고, 기본소득당 후보가 4번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해당 표는 사례로 이해하는 표 입니다.)
2. 기호 3번 정당은 원래 어느 정당일까?
2025년 기준, 대통령 선거에서 기호 3번을 받을 수 있었던 정당은 일반적으로 국회 의석수 3위 정당입니다. 현재 대한민국 국회의 의석 수를 기준으로 보면, 보통 다음 순서로 구성됩니다. (2025년 5월 기준)
- 기호 1번: 더불어민주당 (1위)
- 기호 2번: 국민의힘 (2위)
- 기호 3번: 조국혁신당(3위) 이 대선 후보를 등록하지 않으면서 기호 3번은 공란으로 남게 되었고, 이후 정당들이 순차적으로 기호를 부여받았습니다.
🤔 결론: 기호 3번이 빠진 건 '결석'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기호 3번 후보가 없는 이유는 해당 순번에 해당하는 정당이 대선 후보를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건 오류도, 조작도 아닌 공직선거법에 따른 공식 절차이며, 다른 선거에서도 종종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 선거법 위반 주의] 선거벽보 훼손 시 처벌 수위 및 벌금형까지 총정리
[2025 선거법 위반 주의] 선거벽보 훼손 시 처벌 수위 및 벌금형까지 총정리 선거철이 다가오면 거리 곳곳에 붙는 선거벽보, 그저 종이 한 장처럼 보일 수 있지만 함부로 손을 댔다가는 형사처벌
doraemong0808.tistory.com
댓글